식품 산업에서 HHP 가공이 대중화되고 있지만, HHP 하에서 폴리페놀 옥시다아제(PPO) 및 페록시다아제(POD)와 같은 효소의 불 활성화 동역학에 초점을 둔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감귤류와 사과 주스에서 PPO와 POD의 열 및 비열 불 활성화 동역학을 설명하는 것이 었습니다.
이 실험에 사용 된 감귤과 사과는 현지 시장에서 구입했습니다.
과일 주스를 블렌더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열 (70-80oC에서 10-30 분) 및 압력 (100-500MPa에서 10-60 분)으로 처리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 된 HHP 조건은 감귤 주스와 사과 주스 모두에서 PPO 및 POD를 불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PPO는 POD보다 열 및 압력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
HHP 처리 결과는 두 효소의 불 활성화 정도가 거의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동역학 모델링에 적용될 수 없었다.
활성화 에너지의 결과를 통해이 연구는 감귤의 POD가 효소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사과의 POD보다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한다고 제안했다.
출처 : 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ART002019675
NDSL 논문 - 열처리 및 초고압 처리를 통한 감귤 및 사과...
Although HHP processing is getting popular in the food industry, there are limited researches focused on the inactivation kinetics of enzymes such as polyphenoloxdiase (PPO) and peroxidase (POD) under HHP.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elucidate the th
www.ndsl.kr
#초고압 #초고압공정 #PPO #POD #폴리페놀옥시다아제 #과산화효소 #동역학 #연구 #페록시다아제 #Polyphenoloxdiase #Peroxidase #HPP #HHP #초고압살균 #갈변현상 #산화화
[논문자료] 초고압 살균처리에 의한 grass-fed 우유의 품질특성 (0) | 2020.06.15 |
---|---|
[논문자료] 초고압처리에 의한 새우젓의 미생물변화 (0) | 2020.06.12 |
[논문자료] Superheated Steam과 High Hydrostatic Pressure에 의한 갈비찜의 품질 개선 효과 (0) | 2020.06.10 |
[논문자료] 초고압 공정을 이용한 미생물적 안전성과 관능적 특성이 향상된 분말마늘의 개발 (0) | 2020.06.08 |
초고압 살균 공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1) | 2016.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