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관막은 단위부피당 표면적이 커서 상과 상간의 물질전달속도를 증가시킬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효소, 미생물, 동식물의 고정화 반응기로써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1,2). 실관반응기는 이러한 장점이외에도 고정화가 수월하며, 생산물과의 1차분리가 이루어지며, scale-up시 에너지 소모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불용성 기질을 사용할 경우, 실관막 기공의 막힘으로 인해 장시간의 조업이 어렵고, 고분자 재질 실관막의 경ㅇ, 몇몇 특수 재질을 제외하고 고온/고압 멸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반응기의 구조상 기체의 원할한 공급이 어려우므로 산소소비속도가 빠른 호기성 미생물 배양을 위해서는 이중실관막과 같은 특수설계의 실관 반응기가 이용될 수 있다(3,4). Fig. 1은 독일 Enka사의 polypropylene 실관의 단면과 전형적인 조업방식을 보여준다.
출처: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199411919941964
▼논문 바로가기
[논문자료]유동층 전극 반응기에 의한 희박용액으로 부터 은(Ag)회수(2) : 반응기 이력 및 전류효율 (0) | 2021.06.03 |
---|---|
[논문자료]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아임계 수를 이용한 다시마로부터 생리 활성 물질의 추출 및 캡슐화 (0) | 2021.06.02 |
[논문자료]오토클레이브 성형기법에 의한 TTX 복합재 차체 제작 기술 (0) | 2021.05.31 |
[논문자료]초고압 합성법으로 제조한 리튬이온전지 음극활물질 Li4Ti5O12의 전기화학적 특성 (0) | 2021.05.28 |
[논문자료]미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바이오가스에서의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와 수치모델 (0) | 2021.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