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자료]광합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고성능 수소 생산 고정화 생물반응기의 개발(II) :고정층 반응기와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에서의 수소 생산성 및 물질전달 저항 비교
본 연구는 광합성 미생물 R. rubrum KS-301을 이용한 연속 반응기인 고정층 반응기와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도입 포도당 농도, 희석속도에 대한 수소 생산성과 고정화 담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외부 및 총괄 물질전달 저항, 반응 속도식 변수 등을 평가한 후 비교하였다. 고정층 반응기에서의 겉보기 KmKm은 희석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의 경우는 희석속도 0.4h−10.4h−1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고정층 반응기에서의 수소 생산성과 물질전달 실험결과는 연속 교반탱크 반응기에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두 반응기를 비교하면 수소 생산성과 외부 효율인자는 교반탱크 반응기일 때가 크고, 내부 효율인자는 고정층 반응기일 때가 컸다. 그러나 총괄 효율인자는 두 반응기가 도입 포도당 농도에 따라서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hydrogen productivity varied with changes of input g1ucose concentration and dilution rate in FBR( Fixed Bed Reactor), and CSTR(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We evaluated and compared reaction rate Parameters and internal external and overall mass transfer resistances of immobilized carrier in both reactors. Apparent KmKm decreased with increasing dilution rate in FBR but showed a constant value above 0.4h−10.4h−1 of dilution rate in CSTR. The experimental results in FBR showed nearly analogous to those in CSTR, however, the performance of FBR resulted in lower hydrogen productivity and an external effectiveness factor but a higher internal effectiveness factor than in CSTR. The overall effectiveness factor obtained with various input 91ucose concentrations showed similar values in both reactors.
출처: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199311919971634&SITE=CLICK
▼논문 바로가기
[논문자료]정수압 조건에서 변형률 변화가 섬유강화 복합재의 층간분리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0) | 2021.06.22 |
---|---|
[논문자료]품종에 따른 쌀 미강의 핵산 및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품질특성 (0) | 2021.06.21 |
[논문자료]원자력 발전소 계측제어시스템의 정보취득장치 설계 (0) | 2021.06.17 |
[논문자료]액상성형공정별 물리적/기계적 특성 비교 평가 (0) | 2021.06.16 |
[논문자료]조사시험용 압력용기의 조립 및 시험 (0) | 2021.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