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퇴비화 공정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 내 생물학적 인자의 발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퇴비단 온도변화에 따른 부유세균과 내독소의 발생농도를 관찰하였다. 실험은 도시하수슬러지를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의 기계적 교반이 가능한 퇴비화 장치(반응기 부피 0.06 m3)에서 실시되었다. 부유세균은 미교반 퇴비화 공정에서 퇴비단 온도변화와 유사한 발생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이 다소 낮았고(p > 0.05), 최고 발생농도는 1.03 × 105 CFU/m3이었다. 내독소는 기계교반 퇴비화 공정에서 퇴비단의 온도변화와 유사한 발생경향을 보였으며(통계적 유의성: p < 0.05), 최고 발생농도는 1,415 EU/m3이었다. 퇴비화 공정의 기계적 교반이 퇴비단 미생물의 활성과 이에 따른 배출가스 중 내독소 발생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내독소의 발생농도와 부유세균의 발생농도는 유사한 발생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미교반 퇴비화공정에서 높은 통계적 상관성이 나타났다(통계적 유의성: p < 0.0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vari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endotoxin by the temperature in the compost pile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factors in the exhaust gases generated from labscale sludge compositing reactors (0.06 m3 of total reactor volume). Airborne bacteria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generation (1.03 × 105 CFU/m3) in the composting reactor without mechanical agitation, and similar change tendency to temperature variation of composting, but somewhat lower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In the compost reactor with mechanical agitation, endotoxin showed similar generation characteristic to temperature variation of compos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and the highest generation concentration to 1,415 EU/m3. Mechanical agitation of the composting process affected activity of microorganism and positive generation of endotoxin in exhaust gases. Endotoxin and airborne bacteria showed similar tendency of generation, especially the highest statistical correlation was observed in the compost reactor without mechanical agit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1).
▼논문 바로가기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82fc888c51817b66aae8a972f9116fb
www.riss.kr
[논문자료]항공기용 복합재 부품성형을 위한 금형선택에 관한 연구 (0) | 2021.07.12 |
---|---|
[논문자료] 마이크로 반응기를 이용한 광촉매 분해특성 연구 (0) | 2021.07.09 |
[논문자료]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에 의한 천연가스 차량용 복합재료 압력용기 (0) | 2021.07.07 |
[논문자료]나노셀룰로오스를 함유한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 및 특성 연구 (0) | 2021.07.06 |
[논문자료]전기투석생물반응기 (0) | 2021.07.05 |